https://www.acmicpc.net/problem/2910
문제
위대한 해커 창영이는 모든 암호를 깨는 방법을 발견했다. 그 방법은 빈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창영이는 말할 수 없는 방법을 이용해서 현우가 강산이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획득했다. 이 메시지는 숫자 N개로 이루어진 수열이고, 숫자는 모두 C보다 작거나 같다. 창영이는 이 숫자를 자주 등장하는 빈도순대로 정렬하려고 한다.
만약, 수열의 두 수 X와 Y가 있을 때, X가 Y보다 수열에서 많이 등장하는 경우에는 X가 Y보다 앞에 있어야 한다. 만약, 등장하는 횟수가 같다면, 먼저 나온 것이 앞에 있어야 한다.
이렇게 정렬하는 방법을 빈도 정렬이라고 한다.
수열이 주어졌을 때, 빈도 정렬을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메시지의 길이 N과 C가 주어진다. (1 ≤ N ≤ 1,000, 1 ≤ C ≤ 1,000,000,000)
둘째 줄에 메시지 수열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수열을 빈도 정렬한 다음 출력한다.
해설
수열의 원소와 빈도수를 저장해야하여 map을 이용하여 원소와 빈도수를 저장하였다.
map을 정렬하기 위해 List로 변환 후 정렬을 하여 출력을 하면 되는데, 아래와 같은 주의점이 있었다.
처음에는 HashMap을 사용했었는데,
HashMap은 키 기반의 데이터 저장 구조여서 키의 순서가 지켜지지 않는다.
빈도 수가 같을 때 어떤 원소가 먼저 입력되었는지를 알 수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LinkedHashMap을 이용하였다.
LinkedHashMap은 HashMap과 달리 입력된 순서대로 키가 보장된다.
따라서 정렬을 했을 때 빈도 수가 같다면 먼저 입력된 것이 앞으로 오게 된다.
소스 코드
import kotlin.Comparator
fun main() = with(System.`in`.bufferedReader()) {
val (n, c)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val msgArr = readLine().split(" ")
val hm = LinkedHashMap<String, Int>()
for(i in 0 until n) {
if(hm.containsKey(msgArr[i])) hm[msgArr[i]] = hm.getValue(msgArr[i]) + 1
else hm[msgArr[i]] = 1
}
var list = hm.toList()
list = list.sortedWith(Comparator {a, b ->
when {
a.second > b.second -> -1
a.second < b.second -> 1
else -> 0
}
})
list.forEach {
for(i in 0 until it.second) print("${it.first} ")
}
}
'PS(Problem Solving)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OJ] 2659번: 십자카드 문제 (0) | 2022.02.21 |
---|---|
[백준/BOJ] 13414번: 수강신청 (0) | 2022.02.20 |
[백준/BOJ] 651번: 이항 쇼다운 (0) | 2022.02.19 |
[백준/BOJ] 16922번: 로마 숫자 만들기 (0) | 2022.02.18 |
[백준/BOJ] 16956번: 늑대와 양 (0) | 2022.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