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7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IP IP 서비스 개요 비연결형 서비스 연결 설정 과정 없음 일련의 데이터그램을 독립적으로 전달 최선형 서비스 전송속도, 지연시간 보장 없음 오류 복구 서비스 미지원 서브넷 독립적 서비스 다양한 서브넷을 통해 IP 데이터그램 전송 가능 서브넷 주소와 독립적인 IP 주소 사용 Hop-By-Hop 통신 서비스 계층 구조 IP 데이터그램 구조 Identification, Flags, Framentataion Offset은 IP 데이터그램의 크기가 서브넷의 데이터 전송 단위보다 커서 서브넷을 통과할 수 없을 때, 단편화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IP Datagram Encapsulation Ethernet 유선 LAN의 경우 IP 데이터그램 단편화(Fragmentation) 서브넷에 따라 MTU(Maximum.. Computer Network 2022. 11. 8. [컴퓨터 네트워크] TCP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혼잡 제어 개념 네트워크 혼잡 트래픽 증가로 인해 라우터/스위치 버퍼의 큐잉 지연시간 증가 및 오버플로우 발생 TCP의 네트워크 혼잡 인식 심각한 혼잡: Timeout 발생 경미한 혼잡: 중복 ACK 발생(3번 중복 ACK) TCP의 혼잡 제어 원리 세그먼트 전송률 축소 조정(네트워크로 유입되는 트래픽 감축) 흐름제어를 위한 TCP 전송률 제어 마지막 송신바이트 번호 - 마지막 수신확인바이트 번호 ≤ 수신윈도우 (LastByteSent - LastByteAcked ≤ rwnd) 혼잡제어를 위한 TCP 전송률 제어 마지막 송신바이트 번호 - 마지막 수신확인바이트 번호 ≤ min(수신윈도우, 혼잡윈도우) (LastByteSent - LastByteAcked ≤ min(rwnd, cwnd) TCP 혼잡 제어 .. Computer Network 2022. 11. 1. [컴퓨터 네트워크] TCP 세그먼트 구조와 재전송 타이머(TCP Segment & Retransmission Timer) 응용 프로세스 데이터 전송 과정 큰 applitcation 데이터를 자르는 기능 = segmentation, 이는 transport 계층에서 수행된다. 데이터의 앞에 자신의 헤드를 붙여 IP 데이터로 만든다. IP 데이터그램을 데이터 링크의 프레임으로 캡슐화(Encapsulation)해서 보낸다. TCP 세그먼트 헤더(control information) 필드 + 데이터(payload) 필드 헤더: mandatory(필수), 데이터: optional(옵션) MSS(Maximum Segment Size)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응용 메시지 조각(chunk)의 최대 크기 데이터 링크의 MTU(최대 전송 단위, Maximum Transmission Unit)에 의해 결정(ex. 유선 LAN MTU = 1500.. Computer Network 2022. 10. 13.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사이버 공격(Network Attacks) 목적에 따른 분류 Spyware: 민감 정보 탈취 Bot-ware: DDos 공격에 동원되는 좀비 컴퓨터 Ransomware: 정상적 접근 차단 및 금품 요구 Backdoor_ware: 악의적 접근 통로 개설 전파 방식에 따른 분류 바이러스(Virus) 웜(Worm) 트로이목마(Trojan Horse) 바이러스 생물학적 바이러스와 같이 자신을 다른 실체(숙주 - 실행 프로그램, 문서 등)의 특정 위치에 복제하여 감염시킨다. 사용자가 감연된 실체를 실행시킬 때 실행된다. 숙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악성 소프트웨어 대표적 바이러스 전파 매개체: 메일 첨부파일 웜(Worm) 숙주 프로그램이나 문서에 포함되지 않고 독립적 프로그램으로 존재한다. 사용자 개입없이 실행된다. 네트워크를 통해 스스로 다른 시스.. Computer Network 2022. 9. 21.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계층 구조 통신 프로토콜 정의 통신 장치들간에 교환될 메시지의 형식 정의(Syntax) 메시지 교환 순서 정의(Timing) 메시지를 교환할 때 수행해야할 행위를 정의(Semantics) 프로토콜 구조: 계층 구조 계층 구조의 예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의 웹 페이지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개의 프로토콜들이 사용되고, 이 프로토콜을 정의할 때 계층 구조가 사용되게 된다. 계층 구조의 장점 새로운 프로토콜 정의 용이 특정 통신 기능 또는 서비스 수정 용이 전체 시스템 이해 용이 계층 구조의 단점 최적 시스템 구현의 어려움(프로토콜 단위 사용, 계층 간 서비스 인터페이스 구현) 프로토콜 특정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정보 교환 규칙 정의 유사한 통신 서비스를 위해 유사한 프로토콜 다수 정의 가능 물리 .. Computer Network 2022. 9. 18.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코어(Network Core)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정의 접속 네트워크(Access Network)들을 연결하기 위해 ISP들이 운영하는 광역 네트워크이다. 구성 라우터들을 고속의 링크로 연결 ※ 라우터: 고속의 링크들을 연결한 것 종단간(End to end) 경로 N개의 링크와 (N - 1)개의 라우터의 연결 라우터 구조 라우터가 하는 역할 2가지 1. 네트워크들을 링크를 통해 연결 - 연결 기능 2. 입력된 정보의 패킷(입력되는 정보의 단위)을 교환 - 교환 기능 패킹 스위칭(Packet Switching) 패킷(Packet) 전송 장치 간에 전달되는 정보 단위 공유 링크의 공정한 정송을 위한 긴 메시지를 작은 패킷 단위로 나누어서 전송 패킷 스위치(Packet Switch) 입력 링크와 출력 링크 간에 패킷 단.. Computer Network 2022. 9. 15.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과 프로토콜 인터넷(Internet) Internet은 Inter-Connected Network of Networks의 약자이며, 네트워크들을 상호 연결한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을 구성하는 내부의 네트워크를 subnet이라고 한다. 이러한 subnet들을 상호 연결한 것이 인터넷이다. 즉, 인터넷도 한 개의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Network) 다양한 유형의 호스트와 스위치들을 통신 링크로 연결한 분산 시스템 즉, 네트워크는 크게 호스트와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호스트(Host) 인터넷의 끝에 연결되는 종단 장치(End-System)이다. ex) PC, 서버, 스마트폰, Iot 센서 등등 (통신) 링크(Link) 통신 장치들 간에 정보 전달 단위인 패킷(packet)을 전달하는 유, 무선 매체(Media) ex).. Computer Network 2022. 9. 3. 이전 1 다음 728x90